패배의 요인
오늘 경기는 선발 매치업에서도 우위를 갖지 못 하는데 KIA는 주중 3연전에서 많은 공을 던졌고, 오늘 나오면 3연투인 전상현, 조상우, 정해영을 기용할 수 없는 경기였죠. 쉽게 말해서 시작부터 뒷문이 열린 경기였는데 그런 것 치고는 승부가 팽팽했습니다. 초반 문보경의 실책 덕분에 2득점을 뽑아내며 앞서 나갔으니까요.
KIA는 또 다시 문보경의 실책 덕분에 1사 1, 3루의 찬스를 잡았는데 이때 박찬호의 잘 맞은 타구가 1루수 오스틴의 다이빙 캐치에 잡히면서 더블 아웃. 달아나지 못 했죠. 이 타구만 빠져 나갔으면 뒷문 다 털린 경기에서도 승리를 할 수 있었는데 가장 아쉬운 순간이었습니다.
결국, 6회에 나온 박동원의 결정적인 역전 쓰리런 홈런으로 경기가 뒤집혔고, 위즈덤의 동점홈런이 나왔으나 8회에 오선우와 김규성 함평즈의 아쉬운 수비가 나오면서 결국 지고 말았죠.
체인지업을 읽고 있었던 박동원
6회에 양현종은 투구 수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힘이 떨어진 모습이 완연했습니다. 제구가 잘 되지 않으면서 볼이 늘었는데 전형적으로 악력이 떨어진 증상이었죠.
사실, 오늘 6이닝 3실점으로 잘 막아주긴 했는데, 5회까지는 수비 도움도 많이 받았습니다. 특히, 박민의 2루 수비가 너무나도 좋았죠. 1회 오스틴의 타구, 3회 신민재의 타구, 4회 김현수의 타구 등 쉽지 않았는데 정말 잘 막아줬습니다.
양현종은 앞서 4회에서도 볼이 늘어나면서 2사 2, 3루의 위기를 맞이했는데 이땐 1루가 비었으니까 박동원을 쉽게 걸렀죠. 하지만 6회에는 2사 1, 3루 상황이라 박동원을 거르기에도 애매한 상황이었어요. 그러나 대놓고 거르진 못 하더라도 박동원은 한 방이 있는 타자이니, 최대한 어려운 승부를 했어야 했죠.
하지만 초구 양현종의 체인지업은 불행히도 존에서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박동원은 양현종의 체인지업을 기다리고 있었고요. 존에서 떨어지지 않는 밋밋한 체인지업은 박동원처럼 풀스윙을 즐겨 하는 타자에게는 위험한 구질이죠. 결국, 이게 통타 당하면서 결정적인 역전 3점 홈런이 됩니다.
주자가 1루에 있으니, 여기서 자동 고의사구는 양현종의 자존심 상 쉽지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박동원을 상대로 정면 승부할 생각이 없었던 건 역력했을 거에요. 초구 체인지업이 밋밋하게 들어간 게 문제죠. 그냥 이 공 하나가 오늘 경기의 승부를 가른 결정적인 순간이었어요.
양현종이 전성기였다면 박동원을 상대로 빠른 공을 우겨 넣었을 겁니다. 웃긴 건, 박동원에게 홈런 맞고 마운드를 내려오다가 다시 올라왔는데 그러고 나서 구본혁 상대로 초구 포심 147km/h을 던졌다는 거죠. 박동원 상대로도 저렇게 던졌어야 하지 않나 하는 양현종의 뒤늦은 후회가 느껴진 공이었습니다.
올해 양현종은 커리어에서 가장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죠. 최악의 시즌 스타트를 했다가 최근엔 그래도 나아진 모습이었는데, 요즘 들어서는 선수가 힘들어 하는 게 눈에 보입니다. 5선발로 낮춰 보면 그래도 참아 줄 투구이긴 한대, 5선발이 한 명(윤영철) 또 있으니 문제죠. 그저 이번 여름을 잘 버텨줬으면 좋겠습니다.
최원준 올해는 대수비, 대주자 요원으로 눈을 낮추자
경기 시작 전에 티빙 슈퍼매치라고 인터뷰를 하는 데 하필 KIA는 최원준이 나왔더라고요.(LG는 박해민) 중계진에서 좀 짓궂은 질문을 합니다. "FA 때 얼마 받고 싶으세요?" 이 자리에서 최원준이 '100억' 이라고 외쳤으면 강성 팬덤이 많은 KIA 팬들에게 조리돌림 당했을 겁니다. 그런데 이때 최원준의 답변은
"FA 할 수 있을까요?"
였습니다. 저도 동의합니다. 최원준은 지금 성적으론 FA도 못 하고, 연봉이 4억인데, 2억으로 깎여도 할 말 없습니다. 최원준이 FA 시장에서 가치를 얻으려면 '중견수' 수비가 되는 와중에 3할 타율을 때려야 하는데, 지금 타율이 .223에 불과합니다. 2019년에 .198 때렸던 때가 가장 최악의 기록이었는데(이렇게 못 하던 시기도 있었구나) 거의 그에 근접하죠.
최원준은 2019년 부진을 씻고 2020년에 .326 / .387 / .421을 찍고, 2021년에도 타율 .295에 OPS .742를 기록합니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군복무로 빠진 2022년을 제외하면 최원준은 늘 WRC+ 100 정도를 찍었던 선수에요.(2020 - 117.3. / 2021 - 107.0 / 2023 - 94.2 / 2024 - 110.1) 작년에 최원준이 9번을 치는 타선이라서 KIA 타선이 사기 소리 들었고요.
그런데 올해 현재 WRC+ 57.4를 찍고 있습니다. 오늘도 1사 2, 3루라는 좋은 찬스에서 떨어지는 변화구를 굳이 건드려서 평범한 1루 땅볼로 3루 주자를 홈에서 아웃 당하게 만들었죠. 올해 보면, 존에서 떨어지는 변화구에 너무 취약합니다.
전, 개인적으로 최원준의 장점 중 하나로 타석에서의 침착함을 꼽는데, 지난해 9.8% 였던 볼넷율이 5.7%로 떨어졌고, 13%에 불과했던 삼진율이 18.5%로 나빠졌습니다.
한준수의 올해 부진은 BABIP운이 없어서 그렇다고 보는데,(심지어 한준수는 볼넷율이 높아졌습니다.) 최원준은 그 탓도 아니에요. 선구안이 완전히 무너졌습니다. 타격을 했을 때 강한 타구도 안 나오고요. 지난 주에 살아나나 싶었는데 이번 주에 다시 망가졌습니다.
김석환이 주전으로 나온 경기에서 3타수 3삼진을 당하면서 최원준에게 다시 기회가 갔는데, 이렇게 되면 최원준에게 기회를 줄 필요가 없죠. 게다가 오늘 김석환은 타이트한 상황에서 침착하게 유영찬의 빠른 공들을 다 골라내면서 볼넷을 골라 나갔습니다. 이제 다시 김석환 턴이 된거죠.
김석환이 불안하다 싶으면 정해원을 다시 쓰던지요. 정해원 올해 1군에서는 아직 이렇다 할 모습은 못 보인 것은 맞지만 현재 퓨처스에서 .361 / .445 / .542를 치고 있습니다. 나름 갭파워가 있는 선수인데, 정해원의 2군 기록에서 가장 좋은 기록은 볼삼비죠. 144타수 28삼진 21볼넷으로 상당히 준수한 기록입니다. 정해원보다 볼넷 많은 선수는 최정용(26개)과 동률의 김석환(21개)인데 최정용은 삼진이 42개, 김석환은 34개입니다.
정해원도 어깨는 좋은 편이라 최원준의 가장 큰 장점인 진루 억제 능력도 보완이 가능하죠. 최원준은 이번 잠실 3연전에서 극적인 반등을 이뤄내지 못 하면, 함평 다시 보내서 타석에서의 접근법을 처음부터 다시 설정하는 조치가 필요해 보입니다.
오늘 비록 경기 내주긴 했는데, 생각보다 잘 싸웠다고 생각해요. 8회에 수비 실책으로 내준 점수가 아쉬운데(오선우의 실책도 아쉽지만, 김규성 자리에 박민이었다면? 하는 생각이...) 어차피 동점 됐어도 막을 투수는 없어서 차라리 9회에 끝나는 게 낫다 싶습니다.
선수 단평
[6/29] KIA : LG - '성적'과 '육성'을 모두 잡아 낸 6월의 타이거즈 (2) | 2025.06.29 |
---|---|
[6/28] KIA : LG - 수비로 터질 뻔한 경기를 간신히 잡아내다 (0) | 2025.06.29 |
[6/26] KIA : 키움 - 위즈덤 시리즈의 마무리 (0) | 2025.06.27 |
[6/25] KIA : 키움 - 올러가 막고, 김호령이 치고 (0) | 2025.06.25 |
[6/24] KIA : 키움 - 위즈덤과 구위가 없는 젊은 투수들 (0) | 2025.06.24 |